실수가 더 나은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법
동기부여의 함정들
몇 년 전, 친구들과 함께 '마라톤에 도전하기'라는 목표를 세운 적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서로 동기부여를 위해 매일 아침 조깅을 하기로 했죠. 첫 주는 성공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한 명씩 모임에 나오지 않기 시작했습니다. 그중 한 친구는 "너무 큰 목표를 한꺼번에 잡았던 것 같아"라며 우리에게 미안함을 전했습니다. 조급함과 완벽주의가 우리를 무너뜨렸던 것이죠.
비현실적인 목표 설정
우선, 동기부여의 첫 번째 실수는 비현실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입니다. 너무 큰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단기간에 이루려고 하면 오히려 부담감만 생기고 쉽게 좌절할 수 있습니다. 실생활에서도 다들 새해가 되면 거창한 결심들을 세우곤 하지만 1월이 채 가기도 전에 사라지곤 하죠.
어제보다는 오늘, 오늘보다는 내일
대학교를 졸업하고 첫 출근을 한 날, 제 상사였던 김 부장님은 제게 "너무 멀리 보지 말고, 당장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해"라고 조언해 주셨습니다. 이 말을 일종의 '우리끼리의 법칙'으로 삼으면서 매일 아침 10분씩 출근 전 독서를 해왔습니다. 그 작은 시작이 주간 독서 1권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게 했고, 이러한 작은 성공들이 쌓여 자기 계발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부정적인 환경은 피하라
다른 중요한 실수는 부정적인 환경에 자신을 놓아 두는 것입니다. 주변 환경이 우리의 동기부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회사를 옮기면서 새로운 팀원들과 어울리게 되었는데, 그들은 늘 부정적인 이야기를 하곤 했습니다. '일이 너무 힘들다', '정말 지루하다'와 같은 말들이 절 더 무기력하게 만들었죠. 환경이 바뀌고 동기부여 세션을 통해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한 덕분에 이겨낼 수 있었습니다.
선택과 집중의 힘
또한, 너무 많은 목표를 동시에 세우는 것도 실수입니다. 한 프로젝트를 맡게 되었을 때, 머리 속에는 이미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넘쳐났습니다. 처음에는 할 수 있을 것 같았는데, 결국 모든 아이디어는 실행에 옮기지 못한 채 머리 속에 남아버렸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선택과 집중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한 가지 목표에 집중했을 때 목표 자체를 더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쉬운 목표부터 도전하기
어느 날, 누군가 제게 동기부여에 대해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계속해서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세요"라고 대답했습니다. 예를 들면, 매일 아침 10분 일찍 일어나거나, 점심시간에 5분간 스트레칭을 하는 것과 같은 것 말이죠. 작은 성공들이 쌓이고 나면, 더 큰 목표를 향해 나아갈 준비가 돼 있을 겁니다.
자신을 믿는 것이 우선
결국 가장 큰 동기부여는 자기 자신을 믿는 데서 시작되는 것입니다. 제 친구는 한 번은 사업을 실패하고 완전히 좌절감에 빠졌지만, 끝내 포기하지 않고 재도전했습니다. 그 친구의 꾸준한 노력과 자기 믿음 덕분에 현재는 성공적인 사업가로 자리 잡았습니다. 실패에도 불구하고 한걸음씩 전진하기 위해 자신감과 긍정적인 마인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잠재된 실수를 이해하고 그것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면 어느새 더 큰 목표를 향해 달리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입니다. 동기부여의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스스로를 점검하고 성장의 도약대로 삼아 보는 건 어떨까요?